본문 바로가기

가버나움

(6)
사진) 예수님의 제 2고향 - 가버나움 가버나움은 갈릴리 호수 북동쪽에 위치한 마을로 아래의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아주 작은 마을이다. 예수님은 갈릴리 공생애 대부분을 이 가버나움을 중심으로 사역하신 것으로 복음서가 전해준다. 그래서 가버나움은 예수님의 제 2의 고향이라고 불리고 있다. 그러나 복음서 당시에는 가버나움에 세관이 있었고 로마 군대의 백부장도 있었던 것으로 보아 규모가 있는 도시였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공관복음 읽기 (4) - 막 1장, 마 3-4장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성경지도와 함께하는 공관복음 통독(막 2장/ 마4-5장/ 눅5장) 마가복음 2장에서는 갈릴리에서 펼치시는 예수님의 사역과 이 사역에 대한 사람들의 여러가지 반응에 대해서 전해 줍니다. 예수님의 치유 사역과 말씀 사역이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켜서 가는 곳마다 사람들이 몰려 왔다고 전합니다. 심지어 바리새인들과 율법교사들도 각처에서 예수님께로 나왔다고 누가는 5:17절에서 전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마태복음에서는 9장에 기록되었지만, 마가와 누가는 일찍 기록한 중풍병자 치유 이야기는 "죄사함"에 대한 논쟁을 가져오면서, 예수님의 사역에 대해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이 경계를 시작하는 첫 단추가 됩니다. 이때부터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은 예수님과 제자들의 행동 하나하나에 관심을 쏟으면서 이의를 제기하고 논쟁을 벌이게 됩니다. (죄사함,..
성경지도와 함께하는 공관복음 통독 (막1장 / 마 3-4장/ 눅4장) 공관복음은 세 권의 복음서인 마태, 마가, 누가복음을 말합니다. 이 세권이 공관복음인 이유는 예수님의 생애와 하신 일에 대한 기록인 그들의 복음서가 전개방식과 관점이 유사하고 공통된 내용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세 권의 내용과 기록 순서가 같은 것은 아닙니다. 세 권이 각각의 의도에 따라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들을 기록하였기 때문에, 전체로 볼 때는 공관복음이지만 세부적으로 볼때는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래서 공관복음을 읽을 때는 기준이 되는 한 권이 필요한데, 그 책을 마가복음으로 봅니다. 그러므로 공관복음서 읽기는 마가복음을 기준으로 읽어 가면서, 다른 복음서의 내용을 함께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마가복음 1장은 예수님에 대한 복음의 시작을 세례요한의 등장과 세례 운동이야기에서 시작합..
요한복음 공부, 열 한번 번째 이야기(요 4:43-54) 요한복음 4:43-54 이방인, 왕의 신하의 아들을 살리는 믿음 본문은 갈릴리 가나에서 행하신 예수님의 또 다른 기적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기적의 대상은 헤롯 안티파스의 신하인 한 사람인데, 아마 그는 이방인인으로서 에돔족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의 아들이 가버나움에 있었는데, 그가 열병에 걸려 죽어가고 있었습니다. 그가 가진 권력으로도 이 일을 어찌할 수 없었던 모양입니다. 그런데 그에게 소문이 들려왔습니다. 기적을 행하시는 예수님께서 가나에 오신 것입니다. 그래서 그는 신분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을 찾아가서 아들을 살려달라고 간청합니다. 두 번이나 간청합니다. 예수님은 “이 세대는 표적을 보지 않고는 믿지 못하는 세대구나!”라고 탄식하시고는, 신하에게 “네 아들이 낳았다.”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그 신하..
예수님은 갈릴리를 사랑하셨고, 그곳에서 복음을 시작하셨습니다.(막 1:14-15) 요한이 잡힌 후 예수께서 갈릴리에 오셔서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여 이르시되, '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하시더라. (막 1:14-15) Now after John was put in prison, Jesus came to Galilee, preaching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and saying, “The time is fulfilled, and the kingdom of God is at hand. Repent, and believe in the gospel.”(Mark 1:14-15) 예수님은 갈릴리를 사랑하셨고, 그곳에서 복음을 시작하셨습니다.(막 1:14-15) 세례 요한이 세례 운동을 활발하게 펼치던 그 당시에, 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