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제 5회 김춘기 성서학 강좌 소식 지난 11월 7일(목) 오전 10시-12시에,포항평강교회(담임 : 박종웅목사)에서 다섯번째 김춘기 성서학 강좌가 열렸습니다. 약간 추워진 가을 날씨 속에서약 40여명의 포항과 인근 지역 목사님들이 참여한 가운데"예수, 그는 누구인가?"라는 주제로김춘기 교수님의 강의가 있었습니다.이 주제는 영남신학대학교에서"예수전"으로 널리 알려진 강의였는데,더 깊이 있고, 간결한 역사적 예수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1부 시간에는예수님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 강의로,바벨론 포로 시기를 기점으로 구별될 수 있는예언자적인 종말 배경과 묵시적 종말 배경에,전통적인 지혜와 비전통적인 지혜로 구분되는현자적인 전승을 구약 성경과 중간 시대를 배경으로깊이 있으면서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2부 시간에는 예수님은 '하나님 .. 책소개) 산상수훈 - 자유를 말하다 본서는 "자유를 말하다 - 산상수훈" 이라는 주제로 해설한 김춘기 교수의 산상수훈 해설서이다. 산상수훈은 단순한 말씀 교훈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미 예수는 그의 능력으로 모든 앓는 자들을 고치셨으며, 그 결과 주변 모든 세계에서 예수를 따르려는 많은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말은 예수는 먼저 육체적 고통, 좀 더 확대하여 해석하면 물질적이고, 육체적이고, 정치적인 고통에서 무리를 해방하신 후 산상수훈이라는 교훈을 주셨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수의 교훈이 현실적 고난에 관심도 없이 도덕적이고, 종교적이고, 초월적인 영적 교훈에 그 초점을 두었다거나, 하나님의 나라는 현실과 무관한 초월적 세상이라는 해석을 위하여 산상수훈을 사용하려는 의도는 잘못된 것이다. 예수는 인간의 육체적 고통을 해방하신.. 책소개) 예수 본서는 두 가지 관점에서 예수를 서술하였다. 첫째는 가능하다면 역사적 측면에서 예수를 보고자 하였다. 물론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에 대한 묘사는 어디까지가 역사적 사실이며, 어디부터가 신앙적 해석인지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서는 예수를 역사적 배경에서 그의 말씀과 기적 그리고 십자가와 부활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둘째는 예수를 하나님의 나라라는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왜냐하면 예수의 모든 행동과 말, 그리고 삶이 하나님의 나라와 연관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본서는 예수에 대한 다른 많은 부분을 다루지 않았다. 그러기에 이런 부분들은 이미 출간된 예수에 대한 다른 전문서들을 참고하길 바란다. 책 미리보기 네 마음에 믿으면, 구원을 받으리라!(롬 10:9-10) 네가 만일 네 입으로 예수를 주로 시인하며 또 하나님께서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것을 네 마음에 믿으면 구원을 받으리라.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르고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르느니라. (롬 10:9-10) If you confess with your mouth the Lord Jesus and believe in your heart that God raised Him from the dead, you will be saved. For with the heart one believes unto righteousness, and with the mouth confession is made unto salvation. (Rom 10:9-10) 네 마음에 믿으면, 구원을 받으리라!(롬 10:9-1.. 임마누엘,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다.(마1:21-23) (예수님 탄생교회에서 내려다본 2009년 예루살렘 풍경)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이 모든 일이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이르시되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번역한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시다' 함이라. (마1:21-23) And She will bring forth a Son, and you shall call His name JESUS, for He will save His people from their sins. So all this was done that it might be fulfilled which was spo..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