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화과나무

(4)
마 21장 - 예루살렘 입성의 의미 예수님께서는 여리고에서 소경을 치유하신 후에 (누가복음에서는 삭개오를 회심시키셨음) 여리고에서 유대 광야 길을 통해 예루살렘으로 올라 가셨다. 이 길은 이스라엘 온 땅에 흩어져 살던 이들이 일년 세 차례 예루살렘 성전으로 올라가는 전통적인 길 중 하나였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시는 때도 유월절 절기를 지키려고 많은 사람들이 그 길을 가고 있었을 것이다. 마태는 성전으로 가는 이런 문화의 용어와 분위기를 빌려 예수님께서 한 유월절에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신 이야기를 전해 준다. 대부분 도보로 입성하는 것과 달리 예수님은 슥 9:9절에 예언된대로 나귀(또는 나귀 새끼)를 타시고 입성하셨는데, 이것은 예수님께서 '유대인의 왕'으로 오신다는 것을 보여주는 행위 비유이다. 또한 무리들이 함께 가며 "호산나"..
마 24장 - 종말에 대한 자세들 마태복음 24장은 "묵시강화, 소묵시록"으로 불리는 장으로, 이 내용은 신약성경의 다른 묵시적인 내용들 안에서, 더 넓게는 B.C 200-100년 사이에 셀류커스 왕조의 핍박으로 인해 왕성하게 일어났던 유대 묵시문학이라는 틀 안에서 읽는 것이 좋다. 마태복음이 기록되던 시기에 대해서 의견이 갈리지만, 대체로 A.D 70-80년 사이에 기록된 것으로 본다. 잘아는대로 A.D 70년경 로마군에 의해 예루살렘이 멸망되었고,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면서 초대교회의 자리인 유대 땅은 혼란스러운 격변기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유대인들에게 있어서 예루살렘 성전 파괴는 하나님의 심판으로 이해되어 왔다. 바울에 의해서 이방인 선교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여전히 유대인이었다는 점에서..
열매가 없는 무화과나무는?(막 11:12-14) 이튿날 그들이 베다니에서 나왔을 때에 예수께서 시장하신지라. 멀리서 잎사귀 있는 한 무화과 나무를 보시고 혹 그 나무에 무엇이 있을까 하여 가셨더니 가서 보신즉 잎사귀 외에 아무 것도 없더라. 이는 무화과의 때가 아님이라. 예수께서 나무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이제부터 네게서 영원토록 열매를 따 먹지 못하리라 하시니 제자들이 이를 듣더라! (막 11:12-14) The next day as Jesus and his disciples were leaving Bethany, they were hungry. Not to far away, he saw a fog tree. It was covered with leaves. He went to find out if it had any fruit. When he re..
무화과 열매가 있는 삶인가요?(막 11:12-14) 이틑날 그들이 베다니에서 나왔을 때에 예수께서 시장하신지라. 멀리서 잎사귀 있는 한 무화과나무를 보시고 혹 그 나무에 무엇이 있을까 하여 가셨더니, 가서 보신즉 잎사귀 외에 아무 것도 없더라. 이는 무화과의 때가 아님이라. 예수께서 나무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도 이제부터 영원토록 사람이 네게서 열매를 따먹지 못하리라 하시니 제자들이 이를 듣더라. (마 11:12-14) Now the next day, when they had come out from Bethany, He was hungry. And seeing from afar a fig tree having leaves, He went to see if perhaps He would find something on it. When He came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