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험

(5)
당신이 만일 그리스도인이라면 마 4:1-11 시험하는 자가 예수께 나아와서 이르되 네가 만일 하나님의 아들일진대 명하여 이 돌들로 떡덩이가 되게 하라. 모든 oo식구들에게 주님의 평화를 기원합니다. 우리는 올 한 해 ‘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 같이’라는 말씀으로 살아가려 합니다. 이 말씀은 그 뒤에 나오는 ‘주님을 본 받으라’는 말씀과 같은 의미입니다(요13:15). 오늘 우리가 묵상하려는 것은 본을 받지 말아야 할 것이 무엇인가입니다. 그 내용이 주님의 시험이야기에 나옵니다. 주님이 공생애를 시작하시기 전에 3가지 시험을 받았다는 것은 자신이 하나님의 사역을 할 때 빠질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사탄의 시험이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극복하셨는지를 보이신 것입니다. 좀 더 넓게 생각하면 그 시험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갈 우리 모두가 빠질 수 있는 핵심적..
창 22장 - 연단, 선물, 시험, 완성 창세기 22장은 구약성경에서 나와 우리를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 죽음과 하나님께서 행하시는 부활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장이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시험하시려고..." 25년의 연단 끝에 주셨던 선물인 아들을 두고 시험하시는 하나님의 의도는 하나님의 선물(은총)과 하나님 중에 어느 것을 더 소중하게 여기시는 지에 대한 시험이다. 시험 끝에 하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내가 이제야 네가 하나님을 경외하는 줄을 아노라." "아브라함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연단 끝에 빚어진 신앙인의 모습이다. 주저함없이 따른다. 연단을 통한 경험이 만든 대범함이 보인다.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일러 주신 곳으로 가더니...." 이 말씀은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을 처음 부르셨을 때를 떠올리게 한다. "... 떠나 ..
마 4장 - 예수님이 당하신 시험과 준비 성지 여행을 가면 예수님이 광야에서 금식하신 후 시험을 당하신 장소라고 일러 주는 곳이 있다. 고대 여리고 유적지에서 보이는 광야 산으로 일명 시험산(유혹산)이 그곳이고, 그 산의 중간쯤에 만들어진 동굴에서(지금은 수도원이 있음) 시험을 받으셨다고 한다. 아래의 사진이 시험산이고, 중간에 하얀 원형 지붕이 기도하셨고, 시험(유혹)을 당하신 장소로 본다. (가장 오른쪽 둥근 지붕이 있는 동굴) 그러나 학자들은 예수님이 시험 당하신 이야기는 실제로 세례를 받으신 후 광야에서 기도하시며 받은 한 순간의 경험이기도 하지만, "하나님의 아들"로 오신 예수님의 정체성에 대해 공생애 동안 끊임없이 제기되는 반대파들과 회의론자들의 도전과 시험에 대한 대답으로도 볼 수 있다고 한다. 사탄의 입을 빌려 제기되는 질문이 "..
성경지도와 함께하는 공관복음 통독 (막1장 / 마 3-4장/ 눅4장) 공관복음은 세 권의 복음서인 마태, 마가, 누가복음을 말합니다. 이 세권이 공관복음인 이유는 예수님의 생애와 하신 일에 대한 기록인 그들의 복음서가 전개방식과 관점이 유사하고 공통된 내용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세 권의 내용과 기록 순서가 같은 것은 아닙니다. 세 권이 각각의 의도에 따라 예수님에 관한 이야기들을 기록하였기 때문에, 전체로 볼 때는 공관복음이지만 세부적으로 볼때는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래서 공관복음을 읽을 때는 기준이 되는 한 권이 필요한데, 그 책을 마가복음으로 봅니다. 그러므로 공관복음서 읽기는 마가복음을 기준으로 읽어 가면서, 다른 복음서의 내용을 함께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마가복음 1장은 예수님에 대한 복음의 시작을 세례요한의 등장과 세례 운동이야기에서 시작합..
예수님 공생애 준비(세례, 시험) 예수님의 공생애 갈릴리 사역의 준비(서막- 세례, 시험) 막 1:1-12 마가복음은 최초의 복음서로, 예수님이 누구신가에 대한 첫번째 종합적인 기록을 남긴 책입니다. 이 복음서는 뒤에 기록되는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의 틀을 제공하는데, 그들과는 다르게, 마가복음은 탄생과 유년시절 이야기는 없이, 바로 30여 세에 시작된 공생애부터 소개합니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 ‘복음’이라는 말은 “기쁜 소식”이라는 말로 신약성경에 총 113회 사용되었습니다. 이 단어의 뜻은 ‘예수님의 삶(행위)와 말씀’이라는 뜻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것이 교회 시대에 와서는 ‘교회가 전해야 하는 예수님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소식’이라는 말과 동의어가 됩니다. 복음이라는 단어는 마가가 복음서에 쓰기 전 약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