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13)
마 3장 - 세례 요한... 마태는 예수님께서 애굽에 피신 가셨다가 나사렛으로 돌아온 이야기 후 약 25여년을 건너 뛴 다음 성년이 되신 예수님께서 역사의 무대의 등장하시는 이야기를 전해준다. "그 때에 세례 요한이 이르러 유대 광야에서 전파하여 말하되..." 예수님께서 역사의 무대로 등장하시는 무대는 유대 광야에 '죄사함을 얻게 하는 회개의 세례'를 베풀고 있는 세례 요한의 세례 운동이었다. 말라기 이후 약 400여년 만에 등장한 광야의 예언자 세례 요한, 마태는 그를 이사야 40:3절에 기록된 예언자로 "주의 길(본문에는 여호와의 길, 하나님의 대로)을 예비하는 자로 소개하고 있다. 세례 요한은 나이가 많았던 제사장 가문인 사가랴-엘리사벳의 가문에 하나님이 사명을 주셔서 태어난 사람으로 누가는 전해 준다. 세례 요한의 탄생 이야..
마 4장 - 예수님이 당하신 시험과 준비 성지 여행을 가면 예수님이 광야에서 금식하신 후 시험을 당하신 장소라고 일러 주는 곳이 있다. 고대 여리고 유적지에서 보이는 광야 산으로 일명 시험산(유혹산)이 그곳이고, 그 산의 중간쯤에 만들어진 동굴에서(지금은 수도원이 있음) 시험을 받으셨다고 한다. 아래의 사진이 시험산이고, 중간에 하얀 원형 지붕이 기도하셨고, 시험(유혹)을 당하신 장소로 본다. (가장 오른쪽 둥근 지붕이 있는 동굴) 그러나 학자들은 예수님이 시험 당하신 이야기는 실제로 세례를 받으신 후 광야에서 기도하시며 받은 한 순간의 경험이기도 하지만, "하나님의 아들"로 오신 예수님의 정체성에 대해 공생애 동안 끊임없이 제기되는 반대파들과 회의론자들의 도전과 시험에 대한 대답으로도 볼 수 있다고 한다. 사탄의 입을 빌려 제기되는 질문이 "..
마 5장 - 팔복 말씀과 지침들 마태복음은 잘 알려진대로 믿음을 강조하는 바울에 신학에 대한 일종의 반작용으로 행함을 강조하는 초기 기독교 신학의 한 주류를 보여 주는 복음서이다. 마태복음은 말씀을 주시고 올바르게 가르쳐 주시는 예수님, 특히 교사로서의 예수님에 대해서 강조하는데, 5-7장에 모아서 전해주는 예수님의 가르침인 산상수훈이 그 정점이다. 마태는 또한 듣고 배운 말씀을 삶에서 행동으로 옮겨야 하는 신앙인(교회)들의 태도를 무척이나 강조한다.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라'고 단언하는 야고보서와 같이 마태도 말씀을 듣고 행하는 것이 반석위에 집(믿음의 삶)을 세우는 것이라고 단언하고 있다. 이러다보니 어쩔수없이 마태복음의 말씀은 넓은 의미에서 "순종하면 복을 받고, 불순종하면 저주를 받는다"는 신명기 학파의 흐름을 잇는다고..
마 6장 - 더 나은 의와 최고의 의 마 6장은 개인적인 경건에 대해 주시는 교훈 모음이다. 이 교훈들은 더 나은 의와 최고의 의를 향한 태도를 가르쳐 준다. "오른손이 하는 것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 구제도 행하지 않고, 기도도 하지 않으며, 금식도 하지 않는 이들도 다수인 세상에서 그래도 구제를 행하며, 하나님께 기도를 드리며, 금식을 하는 이들은 의로운 사람들이다. 다만 이들이 하는 선한 종교적인 행위들이 더 나은 의가 되려면 자기의 만족이나 영광을 얻는 방편으로 해서는 안된다고 하셨다. 구제와 기도와 금식을 하는 것이 하나님이 주신 은총에 감사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마음으로 하는 것이지,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거나,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을 의도로 하는 것이라면, 결코 의로운 행동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오히려 종교적인..
마 7장 - 소유가 아니라, 행함이다! 마 7장은 비판 금지 말씀을 제외한다면 산상수훈 말씀의 결론에 포함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비판 금지 말씀은 판단 중지 말씀은 아니다. 왜냐면 거룩한 것을 오용하는 자들에 대해 엄히 판단하고 구별할 것을 6절에 말씀하시기 때문이다. 비판 금지 말씀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본인이 가진 기준을 절대적인 것으로 휘둘러서는 안된다는 말씀이다. 그가 가진 절대적인 것 역시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는 상대적인 것이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약점을 용서해 주시고 받아들여 주신 하나님의 은총을 입은 자들이기 때문이다. 차이점을 비판하기보다는 이해하려 하고, 받아 들여주는 포용의 정신을 말하고 있다. 본문의 기도에 대한 말씀을 많은 경우 기도를 하나님을 조종하여 모든 것을 성취할 수 있는 마법의 도구쯤으로 여긴다. 그러나 기도에..
마 8장 - 치유 기적의 의미 산상수훈을 마치신 다음 산에서 내려 오신 후, 이어지는 마태복음의 예수님의 여정은 마가복음과 다르다. 마가복음에는 제자를 부르신 후, 회당에서 말씀을 전하셨고, 더러운 귀신들린 사람을 고치셨으며, 그후 베드로의 장모의 열병을 고치셨고, 몰려든 사람을 치유하셨다. 그리고 다음날 새벽기도후에 전도여행을 하셨고, 그후에 나병환자를 고쳐 주신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마태는 가장 먼저 나병환자를 고치신 이야기로 시작해서, 마가에는 기록이 없는 이방인 백부장의 종을 고치시는 이야기 다음에, 베드로의 장모를 고치신 이야기를 전한다. 이로 보아 마태는 예수님의 치유 이야기를 일이 일어난 순서로 전해주기 보다는, 필요한 자료들을 자신의 목적에 맞게 선택해서 전해 주는 것으로 보인다. "여인이 일어나서 예수께 수종들더라...
마 9장 - 치유와 말씀 마태는 8장에서 치유과 기적 이야기를 통해 제자도 말씀과 교회를 방해하는 모든 세력을 이기시는 예수님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제 마태는 행위 + 논쟁이라는 혼합 형식으로 된 말씀들을 통해 예수님이 원하시는 이 땅의 삶이 어떠한 것인지를 보여주려고 한다. 9장을 여는 이야기는 친구들에 의해 예수님께 들려 나온 한 중풍병자의 이야기이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좀 이상한데, 그것은 중풍병을 고쳐주시는 것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니라, 이 중풍병자가 죄사함을 받는 다는 것이 초점이라는 것이다. 본문은 이 사람이 세리였다든지, 죄인이었다든지, 아니면 그가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었다든지 아무런 설명을 해 주지 않는다. 다만 그가 회개하기도 전에, 그가 죄사함을 청하기도 전에 예수님께서는 그가 죄사함을 받았다고 선포하셨..
마 10장 - 제자도와 파송 마 10:16-42절은 예수님의 열두 제자를 비롯한 초대 교회의 전도자들이 만날 사역 현장의 모습과 제자들이 지녀야 할 자세에 대한 제자도 말씀으로, 초대교회의 선교 현장에 비추어 이해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제자들이 맞딱뜨릴 선교의 현장에 모습을 이렇게 말씀하셨다. 세상이 나를 대적하고 박해하였으니, 제자인 너희들도 당연히 박해할 것이다. 그러니 "너희는 뱀처럼 지혜롭고 비둘기처럼 순결하게 그 상황을 헤쳐 나가라"고 미릴 알려 주신 말씀을 요약해 본다. 제자들이 만날 선교적인 상황은 호의적인 상황이 아니다. 먼저 가족 간에도 예수님의 복음으로 인하여 분쟁과 박해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공동체(예를 들면 회당 같은 사회 종교적인) 안에서도 비방과 고소와 박해와 추방이 일어날 것이고, 국가적인 박해(황제..